728x90
반응형
728x170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투톱을 꼽으라면 ‘로서/로써’가 빠지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원리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핵심만 딱 잡고, 실전 예시로 손에 익히면 일상 글쓰기에서 실수할 일이 거의 없어집니다.

한 줄 요약
- 로서: 자격·지위·신분. 즉, 어떤 입장이나 정체성을 말할 때. 예) 교사로서, 친구로서, 국민으로서.
- 로써: 수단·도구·재료, 또는 기한의 한계. 즉, 무엇을 통해 하거나 여기까지로 끝을 뜻할 때. 예) 말로써, 칼로써, 오늘로써.
꼭 알아둘 공식 정의
국립국어원 기준으로
- 로서는 ‘지위·신분·자격’을 나타내고, 드물게 ‘동작이 시작되는 곳’을 뜻하기도 합니다.
- 로써는 ‘재료·수단·도구’를 나타내며, ‘셈에 넣는 한계(기준 시점)’도 표현합니다.
이 원칙만 기억하면 90%는 해결됩니다.
초간단 판별법: ‘이다 테스트’
문장 속 ‘로서/로써’를 ‘이다’로 바꿔 읽어 보고 어색하지 않으면 ‘로서’일 확률이 큽니다.
예) 너는 사람으로서 → 너는 사람이다(자연스러움) → 로서가 정답.
반대로 어색하면 대개 ‘로써’입니다. 예) 생선을 식칼로써 → 생선을 식칼이다(어색) → 로써가 정답.
(주의: ‘오늘로써’처럼 기한의 한계를 나타낼 때는 이 테스트가 통하지 않습니다.)
가장 많이 틀리는 예시 10선
- 교사로서 책임이 크다.
- 친구로서 충고 한마디 하자면…
- 국민으로서 납세 의무를 다해야 한다.
- 말로써 다툼을 풀자.
- 쌀로써 떡을 만든다.
- 오늘로써 프로젝트를 종료한다.
- 올해로써 결혼 3주년을 맞았다.
- 이 권위로써 문제를 해결하겠다.
- 현재로서는 대안이 없다.
- 이 이상으로써 인사를 마치겠습니다.
1·2·3·9는 ‘자격(입장)’이므로 로서, 4·5·8은 ‘수단·도구’라 로써, 6·7·10은 ‘기한의 한계’라 로써가 정답입니다.

헷갈림 주의 구간 정리
- 오늘로써 vs 오늘로서: ‘오늘을 끝으로’의 뜻이면 ‘오늘로써’가 맞습니다. ‘오늘로서’는 자격·입장과 어울리므로 문맥상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 말로써 vs 말로서: 말이라는 수단으로 해결한다면 ‘말로써’가 자연스럽습니다.
- 이상으로써: 발표 마무리나 사회 멘트에서 ‘이상으로써 ~를 마치겠습니다’가 널리 쓰이며, ‘여기까지를 한계로 하여’라는 뜻이죠.
실전 적용 방법(바로 써먹는 3단계)
- 내가 지금 말하는 게 입장/정체성인가?
예) 부모로서, 팀장으로서, 초보자로서 → 로서. - 아니면 무엇을 통해 하는가?
예) 노력으로써, 협상으로써, 기술로써 → 로써. - 여기서 끝이라는 마감·기준 시점인가?
예) 오늘로써, 올해로써, 이번 일로써 → 로써.
생활 밀착 예문으로 연습하기
- 팀장으로서(입장) 할 말과, 데이터로써(수단) 설득하는 말은 다르다.
- 부모로서(입장) 엄격함도 필요하지만, 대화로써(수단) 합의점을 찾자.
- 이번 분기 말로써(한계) 시범 운영을 마무리한다.
- 초보자로서(입장) 질문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기록으로써(수단) 실수는 줄일 수 있다.
- 현재로서는(입장·상태) 연기하되, 협업으로써(수단) 대안을 찾겠다.
빈출 오답 패턴 체크
- 노력으로서 성공했다(X) → 노력은 자격이 아니라 수단이므로 ‘노력으로써’가 자연스럽습니다.
- 오늘로서 계약 종료(X) → 기한의 한계이므로 ‘오늘로써’가 맞습니다.
마무리 팁
글을 쓰다가 멈칫한다면, 마음속으로 이렇게 물어보세요.
“이건 어떤 입장인가, 아니면 무엇을 통해 하는가, 혹은 여기까지로 끝인가?”
이 질문 하나면 대부분의 경우 단박에 정리됩니다. 마지막으로 헷갈릴 땐 공식 정의를 확인해 습관을 굳히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참고 자료(출처):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로서/로써’ 구별 및 예문.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로써’, ‘로서’ 용례.
- 국립국어원 공식 안내: ‘오늘로써’ 표기 안내.
- 위키낱말사전: ‘이다 테스트’ 방법 설명.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아지에게 괜찮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위험한 음식들 (7) | 2025.09.29 |
|---|---|
|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차이점 (1) | 2025.09.29 |
| 일상 예시로 보는 통계의 함정 알아보기 (4) | 2025.09.13 |
| 콘텐츠 vs 컨텐츠, 어느 표기가 맞을까? (2) | 2025.09.12 |
| 블로그 차단당할 수도 있는 티스토리 애드센스 모바일 전면광고 전면 금지 (4) | 202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