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VS 오라클(Oracle) 비교: 돈, 기능, 규모로 따져보는 현실적인 DB 선택 가이드
웹 서비스 하나 올릴 때부터 대기업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까지, 결국 마지막에 남는 질문은 이거다.“DB는 MySQL로 가도 돼? 아니면 오라클 써야 해?”둘 다 같은 회사(오라클)가 가지고 있는 제품군이라 더 헷갈리기도 하다. 한쪽은 오픈소스 진영의 대표 선수고, 한쪽은 수십 년 동안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지배해 온 전통 강호다.이 글에서는 둘의 특징을 기술적으로 비교하고, 상황별로 어떤 DB를 고르면 덜 후회하는지 가이드까지 정리해본다.1. 한 줄로 먼저 요약예산이 민감하고, 웹/모바일 백엔드, 마이크로서비스, 스타트업, OSS 친화 환경이라면 MySQL로 가는 게 자연스럽다. MySQL 8.4 LTS 라인도 있고, 안정성·성능 모두 꽤 성숙했다.무중단, 멀티테넌트, 대규모 트랜잭션, 강력한 보안 옵션,..
NoSQL vs RDBMS, 무엇을 언제 선택할까?
한 줄 요약: “스키마가 안정적이고 트랜잭션이 중요하면 RDBMS, 데이터 형태가 다양하고 폭발적으로 커지며 액세스 패턴이 명확하면 NoSQL. 단, 현실 세계에선 둘을 함께 쓰는 폴리글랏 퍼시스턴스가 정답인 경우가 많다.”이 글을 읽으면 얻는 것RDBMS와 NoSQL의 본질적인 차이ACID vs BASE, CAP/PACELC까지 핵심 이론 한 번에 정리도메인별(전자상거래, 소셜 피드, IoT, 로그, 금융 등) 추천 아키텍처설계/운영 관점의 체크리스트와 데이터베이스 의사결정 매트릭스1. 기본 개념부터 빠르게 정렬1.1 RDBMS란?정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테이블(행/열), 명시적 스키마, SQL 쿼리, 정규화된 모델.특징: 강력한 트랜잭션(ACID), 조인, 제약조건(외래키, 유니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