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통신대학교

한국의 시기별 이민정책과 변화에 대하여 서술해보자

728x90
반응형
728x170

한국의 이민정책은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해왔습니다. 다음은 시기별 이민정책과 변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조선시대(1392년~1910년)
조선시대에는 국경 통제가 엄격하게 이루어져 이민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조선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있었으며, 이들은 환국이나 결혼을 이유로 조선으로 입국할 수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1910년~1945년)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에 따라 일본에서 한국으로 대량 이민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농업이나 산업 분야에서 일하며, 이민자들의 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2%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한국전쟁 이후(1950년~1960년대)
한국전쟁 이후에는 대량 이민이 이루어졌습니다. 대부분은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하거나, 중국이나 일본 등 타국에서 돌아온 재이민들이었습니다. 그리고 미국과의 군사 동맹이 체결되면서 미국인들도 한국에 상주하기 시작했습니다.

개발의 시대(1970년~1980년대)
1970년대에는 경제 개발을 위한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면서, 외국인들의 한국 입국이 늘어납니다. 이들은 대부분 기술자나 비즈니스맨 등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대학 교육을 위한 유학생들도 늘어나게 됩니다.

근대화의 시대(1990년대~현재)
1990년대에는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외국인들의 한국 입국이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대부분 결혼이나 교류, 연구 등을 위한 이민자들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2007년부터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외국인 노동자 정책도 시행되고 있습니다.외국인 노동자 정책은 3D 산업, 서비스업, 농업, 어업 등에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필요한 분야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 교육 및 직업 교육 등의 제도도 도입되었습니다.

한국은 이제 다문화사회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국적과 문화를 가진 이민자들이 한국에 입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을 위해 다문화 정책도 강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이민자들이 서로 다른 문화와 생활 방식을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분위기도 조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민자들에 대한 인식 부족이나 차별 등의 문제도 아직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민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다문화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또한, 최근 몇 년간은 주로 고학력이나 기술 능력이 뛰어난 이민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스타트업 비자나 글로벌 인재 비자 등의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한국은 뛰어난 인재를 유치하고 기술력을 높이며 경제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민정책의 변화에 대해 일부에서는 부정적인 반응도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국내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거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는 등의 이유로 이민자들에 대한 반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민문제는 국내외적인 상황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이민정책도 그에 맞춰 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민자들과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생각과 의견을 존중하며,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