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생입니다. 오늘은 영유아 발달의 쟁점인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우선, 연속성과 불연속성은 인지 발달 및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연속성은 물체나 개념 등이 이어져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불연속성은 물체나 개념 등이 단절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바나나"는 불연속성이며, "사과-바나나-딸기"는 연속성입니다.
영유아가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구분할 수 있는 시기는 약 7~9개월 경입니다. 이때부터는 높은 연속성을 갖는 것보다 불연속성을 갖는 것을 더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시기에 영유아의 인지 발달과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님들은 이러한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유아에게 단어를 가르칠 때, 연속성을 갖는 단어들끼리 묶어서 함께 가르치면 좋습니다. 또한, 영유아가 물체나 개념을 구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불연속성이 높은 물건들을 함께 보여줌으로써 인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어떻게 학습할까요?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육아 중인 부모님들은 신생아 기간부터 시작해서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아기에게 자연스럽게 불연속성을 익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기가 "물고기"와 "별"을 보면 불연속성이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모님은 이때 "물고기는 물 속에 살아요, 별은 하늘에 있어요"와 같이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면서 불연속성을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유아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도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먹어"와 "물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뜻이 전혀 다릅니다. 이러한 불연속성을 인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이 유아에게 많은 양의 언어를 노출시켜주고, 상황에 맞게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유아의 정서 발달에도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님이 유아에게 일관성 있는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면서, 때로는 유아의 표현을 자유롭게 받아들이면서 불연속성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영유아 발달의 쟁점인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모님들은 이러한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인지 발달과 언어 발달, 그리고 정서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육아 팁으로서, 유아에게 일관성 있는 교육을 제공하면서 불연속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영유아 발달의 쟁점인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부모님들의 육아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방송통신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상담, 부모교육에 도움이 되는 모델링 기법 (0) | 2023.05.03 |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아이의 세상을 엿보다 (0) | 2023.05.03 |
한스 로즈링의 TED 강의: 데이터 시각화가 인사이트를 불러일으키는 이유 (0) | 2023.05.03 |
문화 맥락주의 교육 방법론 비교 - 프로젝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 (0) | 2023.05.02 |
파이썬의 특징과 장단점,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교 분석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