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통신대학교

대통령 선거 지지율 조사에서 본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의 의미

728x90
반응형
728x170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의 지지율을 파악하는 것은 선거 전략뿐 아니라 사회 전반의 관심사가 됩니다. 예를 들어, A 후보의 지지율을 추정하기 위해 무작위로 유권자 1000명을 뽑아 조사했더니 470명이 A 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사례를 통해 모집단, 표본, 모수, 통계량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해 보겠습니다.

모집단

모집단은 연구나 조사의 대상이 되는 전체 집단을 의미합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대한민국 전체 유권자가 A 후보의 지지율을 추정하기 위한 관심 대상이므로, 대한민국의 모든 유권자가 모집단에 해당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알고 싶은 대상 전체가 바로 모집단입니다. 마치 전국에 있는 모든 피자집의 피자 맛을 알고 싶을 때, 전국의 모든 피자가 모집단이 되는 것과 같습니다.

  • 예시: 대한민국에 거주하며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모든 유권자

표본

표본은 모집단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조사하는 집단을 말합니다.
전체 유권자를 모두 조사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부만 뽑아 조사하게 됩니다.
이번 사례에서 무작위로 뽑은 1000명의 유권자가 바로 표본입니다.
이는 맛집 평가를 위해 전국의 모든 피자를 먹을 수 없으니, 랜덤으로 100개 피자집만 골라 시식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예시: 이번 조사에서 선정된 1000명의 유권자

모수

모수는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우리가 궁극적으로 알고 싶지만 직접 계산할 수 없는 값입니다.
이번 사례에서 우리가 궁금한 것은 A 후보를 지지하는 전체 유권자의 실제 비율입니다.
하지만 모든 유권자를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값은 알 수 없으며, 이를 통계적 추정을 통해 추론하게 됩니다.

  • 예시: 대한민국 전체 유권자 중 A 후보를 지지하는 비율

통계량

통계량은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값을 말합니다.
표본 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로 A 후보 지지율을 계산하면, 그 값은 모수가 아닌 통계량입니다.
이번 사례에서 1000명 중 470명이 A 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했으므로,
470 ÷ 1000 = 0.47 → 즉, **47%**가 표본에서 계산된 지지율이며 이것이 통계량입니다.

  • 예시: 표본 1000명 중 470명이 지지 → 47%

정리

개념 정의 사례에서 해당하는 것
모집단 조사 대상 전체 집단 대한민국 전체 유권자
표본 모집단에서 추출한 일부 집단 무작위로 뽑은 1000명의 유권자
모수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 전체 유권자 중 A 후보 지지율
통계량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값 47% (470명 / 1000명)

마무리

이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모집단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알고 싶은 대상 전체, 표본은 그중 일부를 뽑아 조사한 집단, 모수는 모집단의 실제 값, 그리고 통계량은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값입니다.
선거 여론조사는 바로 이러한 개념들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정확한 표본 추출과 분석을 통해 실제 모수를 최대한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핵심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