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통신대학교

가축의 소화기관 비교 - 조류, 돼지, 소, 비밪추초, 식동물(토끼, 말)의 소화기관 차이점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728x170

가축의 소화기관은 축종별로 차이가 큰 것이 특징인데, 조류 (닭, 오리), 돼지, 소, 비밪추초 식동물(토끼, 말)의 소화기관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가축 중에서도 조류, 돼지, 소, 비밪추초, 토끼, 말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가축들의 소화기관에는 축종별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조류, 돼지, 소, 비밪추초, 토끼, 말의 소화기관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조류의 소화기관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하나는 목, 두번째는 복부입니다. 목부분에서는 조류의 입을 통해 들어온 음식물이 딱딱하게 갈아먹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복부에서는 갈아먹은 음식물이 저장되고 소화됩니다. 그리고 조류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자주 먹어야 합니다.

다음으로는 돼지의 소화기관입니다. 돼지의 소화기관은 사람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 4개의 섹션으로 나뉘며, 입에서 시작되어 위, 중간, 하부소장, 광장저마단까지 이어집니다. 또한 돼지는 적극적인 자원활용 덕분에 어떤 것이든 먹을 수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돼지의 소화기관 구조입니다.

그 다음은 소의 소화기관입니다. 소의 소화기관은 여러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입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먼저 농축되고, 그 다음에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는 위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후에는 비장과 소장, 대장으로 이어지며, 소화가 완료되면 직장에서 배출됩니다. 또한 소는 반추구조의 소화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음식물을 잘게 갈아서 소화시킵니다.

이제 비밪추초와 식동물 중 토끼와 말의 소화기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비밪추초는 입으로 들어온 먹이를 한번에 소화하기 위해 3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먹이를 잘게 갈아주는 것이 목에서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갈아낸 먹이가 각각 다른 구획으로 이동합니다. 마지막으로 왼쪽 위장과 교차하는 큰 구획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토끼와 말의 소화기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토끼는 입으로 들어온 먹이를 한 번에 소화하기 위해 큰 구획 하나와 작은 구획 여러 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큰 구획에서는 먹이를 잘게 갈아주는 작업이 이루어지며, 작은 구획에서는 다시 한번 먹이가 소화됩니다. 이후에는 비장, 소장, 대장으로 이어져 소화가 완료되면 배출됩니다.

마지막으로 말의 소화기관은 사람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입으로 들어온 먹이는 위로 이동하여 위장에서 소화됩니다. 그리고 이후에는 작은 창자, 큰 창자, 직장으로 이어져 배출됩니다.

이처럼 가축 중에서도 조류, 돼지, 소, 비밪추초, 토끼, 말마다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알아보면서 어떤 가축을 어떻게 먹이고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