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상임금

(4)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용어는 임금과 급여에 관련하여 흔히 사용되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임금(Average Wage): 평균임금은 특정 기간(일반적으로 월 또는 연 단위) 동안 전체 근로자의 임금을 합산한 후, 근로자 수로 나누어 계산한 값입니다. 즉, 회사나 근로자 그룹 전체의 평균 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근로자의 임금과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들의 임금을 평균화한 값으로, 회사의 급여 체계를 파악하거나 산업 전체의 임금 동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통상임금(Nominal Wage): 통상임금은 개별 근로자가 받는 임금으로, 기본적으로 근로자의 근로 노력에 대한 보상입니다. 이는 임금 협상, 법정 최저 임금 등에 ..
2021년 개정 근로기준법으로 바뀐 임금명세서 읽는 방법과 식대, 차량 유지비의 통상임금 여부 알아보기 2021년 11월부터 개정된 근로기준법으로 인해 임금명세서 발급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임금명세서는 근로자의 근무에 대한 급여 내역을 문서로 기재한 것으로, 매달 월급날에 받게 됩니다. 하지만 계약 연봉과 실수령액이 다를 수 있고, 급여명세서를 읽는 방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제 임금명세서를 자세히 알아보고, 식대와 차량 유지비가 통상임금에 해당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급여명세서는 기본적으로 지급내역과 공제내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지급내역은 근로자가 받는 급여의 각 항목을 더해서 받는 총액을 나타내며, 공제내역은 세금 등을 공제한 총액을 말합니다. 이 두 항목을 빼면 세후 급여인 실수령액이 나오게 됩니다. 급여명세서를 받게 되면 사회 초년생인 경우 특히 계약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로 인해 헷갈릴 수 있..
소정근로시간과 통상임금 산정 기준시간 이해하기(근무시간 계산법) 보통 근무시간을 이야기할 때 하루 동안 회사에 있는 총 시간을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을 잘 살펴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근무시간과는 상이한 소정근로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소정근로시간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인사수당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정근로시간의 개념과 1일, 1주, 한 달 근로시간 계산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이란? 소정근로시간이란, 법적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서 근로하기로 합의한 시간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취업규칙 등에 명시된 업무 시작 시각부터 종료 시각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이 내용은 반드시 취업규칙 등에 기재되어야 합니다. 소정근로시간의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소정근로시간에 따라 기본적인 임금이 결정되고 이 개..
연차휴가와 유급휴가수당에 대해 알아보자! 연차 휴가란,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기간 근무한 경우 유급으로 휴가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바쁘게 일하다 보면 휴가 때를 놓쳐 쌓인 연차를 마저 사용하지 못하고 연말을 맞이하는 직장인들이 많을 것입니다. 오늘은 미사용 연차수당과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연차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는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유급휴가 제도란?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기간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지급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유급 연차의 지급 기준은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인 사업장에서는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연차휴가를 지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근로자가 동일하게 연차휴가를 부여받는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