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민소의 절차와 제도
조선시대의 민소는 오늘날의 민사소송과 꼭 1:1로 대응되지 않습니다. 당시에는 민사와 형사의 경계가 느슨했고, 실제 재판 과정도 행정과 사법이 뒤섞여 돌아갔거든요. 그래도 분쟁을 문서와 증거로 해결하려는 기본 원리는 분명했고, 그 틀은 경국대전과 각종 법전·관례 속에서 꽤 체계적으로 굴러갔습니다. 이 글에서는 조선 민소의 의미, 담당 기관, 절차, 사건 유형, 그리고 항변,상소 경로까지 한눈에 정리합니다.민소의 개념과 법적 배경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에는 재산권과 가족관계 등 사적 권리보호와 관련된 규정, 그리고 그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따라야 할 소송 절차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형전 조항은 대명률을 보완·우선 적용하는 조선 고유의 규범으로 작동했죠. 이 때문에 재산권 보호, 상속, 매매, 전답,가..
데이터의 정의부터 정형·비정형, 범주형(명목형·서열형)까지 한 번에 정리
데이터 얘기만 나오면 머릿속에 숫자와 표, 그래프가 줄줄이 떠오르기 마련이죠. 하지만 데이터는 생각보다 넓고, 또 의외로 “정확한 말”로 구분해 두면 실무에서도 훨씬 깔끔하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전적·어원적 정의로 출발해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하고, 정형 데이터 중에서도 범주형 데이터의 두 가지 분류(명목형, 서열형)를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합니다.1) 데이터의 사전적 정의와 어원적 정의사전적 정의데이터는 “관찰, 측정,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사실 또는 값들의 모음으로, 분석과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는 정보의 원재료”를 뜻합니다. 다시 말해, 데이터는 아직 가공되지 않은 사실(facts)이며, 정리·해석을 거치면 정보가 됩니다. 통계학에서는 흔히 “변수의 값들”을 데이터라고 부르..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방송통신대학교의 매체사와 미래 제안
원격·평생학습이 일상이 된 지금, 교육매체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학습 설계의 핵심 요소가 됐습니다. 교사가 목소리로만 전달하던 내용을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때로는 더 똑똑하게 전달하도록 돕는 모든 매개가 교육매체입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매체의 분류와 장단점, 1900년대부터 오늘까지의 발전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매체 변화, 그리고 앞으로 우리 학교에 들여오면 좋은 매체를 제안합니다.1) 교육매체의 종류와 핵심 특징교육공학에서는 매체를 기능과 전달 채널 중심으로 분류합니다.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축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인쇄 기반 매체교재, 워크북, 유인물처럼 안정적이고 정밀한 정보 전달에 강합니다. 저비용·고신뢰지만 상호작용성과 즉시성은 낮습니다.시청각 매체슬라이드, OHP, 녹음, 라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