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의 정의부터 정형·비정형, 범주형(명목형·서열형)까지 한 번에 정리
데이터 얘기만 나오면 머릿속에 숫자와 표, 그래프가 줄줄이 떠오르기 마련이죠. 하지만 데이터는 생각보다 넓고, 또 의외로 “정확한 말”로 구분해 두면 실무에서도 훨씬 깔끔하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전적·어원적 정의로 출발해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차이를 비교하고, 정형 데이터 중에서도 범주형 데이터의 두 가지 분류(명목형, 서열형)를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합니다.1) 데이터의 사전적 정의와 어원적 정의사전적 정의데이터는 “관찰, 측정,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사실 또는 값들의 모음으로, 분석과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는 정보의 원재료”를 뜻합니다. 다시 말해, 데이터는 아직 가공되지 않은 사실(facts)이며, 정리·해석을 거치면 정보가 됩니다. 통계학에서는 흔히 “변수의 값들”을 데이터라고 부르..
교육매체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방송통신대학교의 매체사와 미래 제안
원격·평생학습이 일상이 된 지금, 교육매체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학습 설계의 핵심 요소가 됐습니다. 교사가 목소리로만 전달하던 내용을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때로는 더 똑똑하게 전달하도록 돕는 모든 매개가 교육매체입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매체의 분류와 장단점, 1900년대부터 오늘까지의 발전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매체 변화, 그리고 앞으로 우리 학교에 들여오면 좋은 매체를 제안합니다.1) 교육매체의 종류와 핵심 특징교육공학에서는 매체를 기능과 전달 채널 중심으로 분류합니다.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축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인쇄 기반 매체교재, 워크북, 유인물처럼 안정적이고 정밀한 정보 전달에 강합니다. 저비용·고신뢰지만 상호작용성과 즉시성은 낮습니다.시청각 매체슬라이드, OHP, 녹음, 라디오..
로서vs로써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투톱을 꼽으라면 ‘로서/로써’가 빠지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원리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핵심만 딱 잡고, 실전 예시로 손에 익히면 일상 글쓰기에서 실수할 일이 거의 없어집니다. 한 줄 요약로서: 자격·지위·신분. 즉, 어떤 입장이나 정체성을 말할 때. 예) 교사로서, 친구로서, 국민으로서.로써: 수단·도구·재료, 또는 기한의 한계. 즉, 무엇을 통해 하거나 여기까지로 끝을 뜻할 때. 예) 말로써, 칼로써, 오늘로써. 꼭 알아둘 공식 정의국립국어원 기준으로로서는 ‘지위·신분·자격’을 나타내고, 드물게 ‘동작이 시작되는 곳’을 뜻하기도 합니다.로써는 ‘재료·수단·도구’를 나타내며, ‘셈에 넣는 한계(기준 시점)’도 표현합니다.이 원칙만 기억하면 90%는 해결됩니다. 초간단 판별법: ‘이..
빅데이터 시대, 왜 데이터 시각화부터 시작인가?
데이터 시각화의 의미(약술)데이터 시각화는 방대한 수치·텍스트·범주형 정보를 사람의 지각 체계가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차트, 지도, 네트워크 그래프처럼 시각적 부호(위치, 길이, 면적, 색상, 채도 등)를 활용해 패턴·이상치·추세를 드러내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맥락을 제공한다. 핵심은 예쁘게 꾸미는 게 아니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일이다. 결국 좋은 시각화는 “무엇이 중요한가”를 한눈에 보이게 하고, 나쁜 시각화는 “무엇이 중요한지”를 흐리게 만든다.좋은 시각화를 가르는 네 가지 원칙정확성: 왜곡 없이 값을 보여준다. 특히 막대그래프는 축을 0에서 시작하는 등 암묵적 규칙을 지킨다.맥락: 시간·지리·비율 등 해석에 필요한 배경을 함께 둔다.인지 부하 최소화: ..